분류 전체보기(105)
-
데이터 사이언스 인터뷰(1)
p-value란 무엇인가?귀무가설이 맞다는 전제 하에 표본에서 실제로 관측된 통계치와 같거나 더 극단적인 통계치가 관측될 확률. P-value는 내가 뽑은 표본평균이 귀무가설에 따라 나올 확률이 몇 %가 되었는가를 찾는 방법이다예를 들어 두 표본 평균의 차이를 검증한다고 할 때, 두 표본 집단의 모집단이 같다는 가정을 전제하여 통계를 진행한다. R-Square의 의미는 무엇인가?결정계수라고 불리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을 표현한 것. 0에 가까울수록 설명력이 낮고, 1에 가까울수록 높다. R-squred는 1-SSE/SST(SSR/SST)로 구할 수 있으며, SST는 Sum of squre Total이며, SSE는 Sum of squre of error이다. SST는 실제값과 예측값, 평균값 사이에 발생한 ..
2020.11.01 -
인생은 물음을 던진만큼 살아진다.
인생은 물음을 던지는 만큼만 살아진다. 나는 왜 존재하는가? 내가 살아가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나는 왜 미워하는가? 나는 왜 사랑하는가? 과연 나는 나를 모두 안다고 장담할 수 있는가? 내가 나의 모든것을 안다고 말을 할 수 없다면, 나는 과연 나로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는가? 우리는 소설을 읽을 때, 인물에 몰입하여 상황을 주시하게 된다. 인물ᄋ..
2020.09.12 -
상속과 인터페이스, 다형성에 대해 2020.09.11
-
삶은 여행이다
인생은 예측이 불가하다. 정말 가고싶어 찾아간 가게가 연달아 문을 닫기도하고, 길을 잘못들어 되돌아오는게 한참이 걸린 적도 있었다. 이런 부분만 본다면 누군가는 썩 좋지 못했던 여행이라 말할 수도 있겠다. 그럼에도 내가 나의 인생이 매력적이라 감히 말할 수 있음은 나의 여행이 예측 할 수 없이 새로웠기 때문이다. 삼일 내리 올거라 장담했던 ..
2020.08.09 -
넷플릭스로 보는 데이터 베이스
1. 넷플릭스의 문제점 전세계에 1억 4000만의 유료 회원을 보유한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넷플릭스’. 화려한 타이틀을 갖게 되기까지 넷플릭스는 수많은 착오와 어려움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넷플릭스의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기술적 사건이 있었다. 바로 데이터 센터에서 클라우드로의 전환이다. 넷플릭스가 고유의 데이터 센터(DC)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클라우드를 사용하게 된 계기에는 다음과 같은 사건이 있었다. 때는 2008년, 넷플릭스는 단일의 DC를 운용하고 있었으나 SPOF로 인해 3일간 소비자에게 DVD배송이 지연되는 문제를 겪었다. 특히나 점점 더 많은 유저를 포용하게 되는 넷플릭스의 입장에서는 DC 유지를 위한 공간, 동력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쿨링 시스템 보완 등 모든 것이..
2020.05.14 -
창업따라 삼만리, 제품을 준비하며.
끄아아 오늘 너무피곤해 6시간은 고사하고 5시간도 못잔 채 일어나서 급하게 청량리 총총... 문주언니랑 내내 제품 패키지에 들어갈 상자 견적 물어보고(이것 때문에 충무로까지 갔다..) 하루종일 공장을 돌아다니면서 종이를 직접 만져보고 어떻게 도안을 짜야할지 담당자분과 얘기하는 시간을 가졌다. CPP, 로얄 아이보리, 아이보리 등등.. 4도와 별색의 차이! 제품의 컨셉에 따라 상자에도 들어가는 재질과 색상 모든게 달라질 수 있다는게 너무 신기했고 마케팅이란 이런 열정속에서 나오는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느끼는거지만..창업은 아무나 하는게 아닌거같다. 모든걸 다 내손으로 직접 하나하나 다!!!만들어야된다 정말 이세상에 편하게 되는게 하나도 없는걸 새삼 느끼게 됬고 이런 멋진 일을 내가 하고 있다는 ..
2020.04.06